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K 패스 카드 발급 방법, 신청방법 및 혜택, vs 기후동행카드 차별점

by 선한부자Beloved 2024. 4. 2.
반응형

요즘 기후동행카드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시작했습니다. 그런데 K 패스 발급 예정 소식과 함께 이것이 기후동행카드와 무엇이 다른지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. K 패스 카드는 교통비를 최대 53%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.

오늘은 K 패스 신청 방법 및 발급 방법 그리고 기후동행카드와 어떤 점이 다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K 패스카드는 5월 1일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최근에 시행된 기후동행카드와 K 패스 중 어떤 것이 좋은지 알아보고 K 패스카드 발급 방법과 기후동행카드 신청하는 방법까지 모두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K 패스 란?

 

올해 5월 1일부터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의 금액을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. 매번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놓쳐서는 안되겠죠?

 

K 패스는 전국 어디서든 이용가능 하며 지하철, 버스, GTX 등 다양한 대중교통 역시 이용할 수 있어서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.

 

 

K 패스카드 신청 및 발급 방법

 

1. K 패스 신규 신청하기

 

K 패스 신규 신청은 5월 1일부터 시작되고 K 패스 누리집, 앱, 11개 카드사를 통해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2. 알뜰교통카드 전환 신청하기

 

K 패스는 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출시되었기 때문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K 패스 신규 발급 없이 전환 신청 통해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4월 30일에 종료되고 K 패스 적립을 위해 4월 30일 이전에 전환 신청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 아래를 누르시면 전환 신청을 하실 수 있으니 현재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K 패스 환급 비용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비의 일정 비용을 환급받는 교통카드입니다. 환급 적용 최대 횟수는 60회 이고 대상이 누군지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
 

  • 일반인: 이용금액의 20% 환급
  • 청년(19세-34세): 30% 환급
  • 저소득층(수급자 및 차상위계층): 53% 환급

 

기후동행카드와의 차별점 많은 분들이 기후동행카드 시행으로 인해 이미 발급받아서 사용중이실텐데요. 그러면 K 패스는 기후동행카드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 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먼저,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원대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인데요. 다만 광역 버스나 신분당선에서는 요금 추가가 있는 점이 다소 아쉬운 점입니다.

 

월 사용금액 예시 K 패스  기후동행카드
월 7만원 사용시  56000원 (14,000원 환급) 62000원 
월 8만원 사용시  64,000원(16,000원 환급) 62000원 

 

위의 사용금액 예시처럼 월 7만원 이하 이용 시에는 K 패스가 유리하고 월 8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니 본인의 월 대중교통 평균 이용금액이 어떠한지 잘 살펴보시고 선택적으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. 

 

 

K패스 카드 vs 기후동행카드 특징

  K패스  기후동행카드
대상  일반, 청년, 저소득층 카드 구매자 모두
조건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  카드 구매자 모두
혜택  이용금액 환급 무제한 이용
지역 전국 서울시 
대중교통 수단  전철, 버스, 신분당선,광역버스, GTX 서울 내 전철, 버스, 마을버스, 따릉이
지원 횟수  월 60회 무제한
시행 시기  24.5.1 진행중

 

 

오늘은 5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는 K 패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 K 패스 신규 신청은 5월 1일부터 할 수 있고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지금 바로 K패스로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용금액에 대한 환급은 다음달에 해주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